여행(旅行)2014/삼척준경묘와영경묘

삼척준경묘와영경묘탐방

녹수청산綠水靑山 2014. 9. 30. 11:00

삼척준경묘와영경묘탐방

 

조선시대에 조성된 묘역.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5대조인 양무장군의 묘(준경묘)와 양무장군의 부인 이씨의 묘(영경묘)이다.

고종 광무 3년(1899)년에 묘소를 고쳐 짓고 제각(제사를 지내기 전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해 머무는 공간 또는 제사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관하는 공간)과 제실(제사를 모시는 집), 비각(비석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건물) 등을 세웠다. 이 일대는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가장 아름다운 숲’으로 선정되기도 했을 만큼 울창한 소나무 숲이 잘 보존되어 있다.

“조선 개국을 예언한 명당, 영경묘”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의 고조부인 목조 이안사가 전주를 떠나 삼척으로 왔을 때였다. 삼척에 온지 얼마 되지 않아 아버지 양무장군이 세상을 떠났다. 묘 자리를 찾고 있던 중 산 속에서 한 도승이 동자승에게 하는 얘기를 우연히 엿듣게 된다. “이곳에서 장사를 지내면 5대 안에 한 나라를 개국하는 그런 인물이 태어날 것이다. 그럴려면 반드시 개토제(開土祭) 때 100마리 소를 제물로 바쳐야 하고, 금으로 만든 관을 사용해야한다” 이에 목조는 궁리 끝에 100마리의 소(百牛)는 흰 소(白牛)로 대신하고, 금으로 만든 관(金棺)은 황금빛이 나는 귀릿짚으로 대체했다. 그렇게 해서 예언대로 이성계가 태어나게 됐다고 한다. 이때 백우(百牛)를 백우(白牛)로 대신하여 천년 갈 조선이 5백년만 유지됐다고도 하고, 준경묘 사방 5봉의 산 수명이 각각 1백년이라 조선왕조의 수명이 500년이었다고도 한다.

 

※ 준경묘는 조선 태조의 5대조인 양무장군(陽茂將軍)의 묘이고, 영경묘는 양무장군의 부인 이씨의 묘이다. 준경묘는 활기리에 있고, 영경묘는 약 4㎞ 떨어진 하사전리에 있다. 1899년에 왕명으로 묘소를 짓고, 재각(齋閣:제사를 지내기 전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해 머무는 공간 또는 제사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관하는 공간)·제실(祭室)·비각(碑閣) 등을 세웠다. 준경묘 앞에는 앞면 3칸·옆면 2칸짜리 제각이 있는데, 지붕선이 옆에서 보았을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의 단순한 맞배지붕이다. 이 제각은 왕릉에 세워지는 정(丁)자형이 아니라 단순한 일(一)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 일대는 울창한 소나무 숲으로 되어 있어 원시림의 경관을 구경할 수 있는 경치가 좋은 곳이며, 이곳의 소나무들은 경복궁 중수 때 자재로 쓰였다고 한다. (자료문화유산펌)

 

준경묘                                                                                           ( 언제 :2014.09.27일 일요일 흐림) 

 

 

38번국도에서 준경묘주차장까지가서주차를한후 이곳부터 1.8km의 임도를따라 경사진포장도로 800m 와 1km의 평평한임도를따라 가다거의다갈쯤이면 금강소나무숲을지나면 넓은잔듸로덮힌  준경묘와 하늘이높은줄모를고 쭉쭉뻗은 금강소나무 아늑하고 조용하고 명당중명당 이보인다. 이곳이준경묘~~~ 

 

준경묘입구 이곳부터 1.8km 도보

 

차량통제 차단기

 

 

준경묘가보이는 금강소나무숲길

 

 

 

 

 

 

 

 

 

 

 

준경묘사당

 

 

 

 

준경묘앞에서 내려다본 사당과 금강소나무숲길

 

 

 

 

사당옆 샘터 물이마르지않고 계속흘러나온다....

 

 

 

속리산 정이품소나무와 혼례를한  혼례소나무

 

 

 

 

 

 

 

 

영경묘 ( 준경묘 이양무장군의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