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꽃)2015/보라색진범

보라색진범

녹수청산綠水靑山 2015. 8. 31. 23:49

보라색진범

 

진범

蓁芃

 

분류 여러해살이풀

별칭 진교(蓁膠)·진과(蓁瓜)

학명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분포지역 전국 각지

생약명 진교(蓁艽)

키 30~80cm

자생지역 숲 속의 응달

번식 씨

약효 뿌리

과 미나리아재빗과

채취기간 가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성 평온하며, 쓰다.

독성여부 있다.

1회사용량 뿌리 6~12g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목차

1.잎

2.꽃

3.열매

4.특징 및 사용 방법

5.효능

 

진범 잎

뿌리잎은 뭉쳐나며 잎자루가 길고 둥근 심장 모양으로서 5~7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의 가장자리는 깊이 패여 들어간 모양이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짧고 뿌리잎과 비슷하지만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8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이나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5개인 꽃받침 조각은 꽃잎 모양인데 뒤쪽 조각은 투구처럼 생겨 앞으로 굽었으며 위가 원통 모양으로 길어진다. 양쪽에 달린 2개는 넓은 거꿀달걀꼴이고 아래쪽에 달린 2개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밑으로 약간 처진다. 꽃잎은 2개이고 길어져서 끝이 꿀샘처럼 되며 뒤쪽 원통 모양의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넓으며 암술은 3개이다.

 

열매

10~11월에 3개의 골돌과가 삼각형 모양으로 달려 익는데 거센 털이 있고 끝에 남아 있는 암술대가 뒤로 젖혀진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낭독·망사초·오독도기·흰진교라고도 한다. 그다지 굵지 않은 흑갈색의 뿌리가 땅 속으로 곧게 뻗어 깊이 들어간다.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는데 흔히 자줏빛이 돌고 밑 부분에 모가 난 줄이 있으며 위쪽에 짧은 털이 빽빽이 나 있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유독성 식물이지만 뿌리는 약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운동계·신경계·소화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심제, 경련, 관절염, 근골동통, 소변불리, 소변불통, 중풍, 진정, 진통, 풍, 풍비, 풍습, 황달

소아질환: 냉복통

 

보라색진범                                                                                   (언제 : 2015.08.30일 일요일오전맑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