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浮石寺)
경북영주시 부서면 북지리 소재
부석사는 신라문무왕 16년(676)해동 화엄종의 종조인 의상대사가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의 수사찰이다.
당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고종의 신리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닦은 화엄의 도리로 국론을 통일 하여내외의 시련을 극복하게 하고자 귀국하여 이절을 창건하였으며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불전서쪽에 큰바위가있는데 이바위는 아래의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한데서 연유하였다 한다.
고려시대에는 선달사 혹은 홍교사라 불리었다, 1916년 해체보수시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고려초기에 무량수전등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7년(1358) 적의 병화를 당하여 우왕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우왕3년(1377)조사당이조건되었다.
경내에는신라시대 유물인 무량수전앞 석등(국보제17호),석조여래좌상
(보물제220호), 삼층석탑(보물제249호), 당간지주(보물제255호), 석조기
단등이있고, 고려시대 유물인무량수전(국보제18호), 조사당(국보제19호),소조여래좌상(국보제45호),조사당벽화(국보제46호), 고려각판(보물제735호), 원융국사비등이 있다.
특히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최고의 목조건물 중 하나이며 조사당벽화는
목조건물에그려진벽화중가장오래된것으로현재유물관안에보관되어있다.
무량수전 안에 봉안된 여래좌상은 국내에 전래하는 최고의 소상이다.
무량수전서쪽에있는우물은 의상대사의호법룡이 살았다는우물이라 전한다.
부 석 사 입 구 (탐방일:2009.11.30일월요일)
당간지주 (보물제255호)
무량수전내는 국,보물급이있어 사진촬영금지구역이므로 사진촬영
을 하지못했다.
응진전,자인당내는 국,보물급이있어 사진촬영금지구역이므로 사진촬영을 하지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