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旅行)2010/호미곷해맞이광 장

호미곷해맞이광장

녹수청산綠水靑山 2010. 1. 29. 23:36

호미곷해맞이광장

      7번국도를따라 포항도착 포항에서 구룡포로 향했다.  13시00구룡포도착

구룡포에서 35번국도를따라 호미곷 해맞이광장으로가던중 한반도 동쪽땅끝

마을이란 입간판이 보인다. 입간판을보고 차량한대 들어갈만 한 도로를따라

200m지점에주차를하고 다시50여미터를걸어서한반도동쪽땅끝이라는표지석

있는곳에도착하여 사진을몇장 촬영하고 다시 호미곷으로출발 호미곷 새천년

기념관옆주차장에주차를하고 새천년기념관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4층

전망대로 오라가서 호미곷해맞이 광장과 대보항,  등대박물관 위치를확인 후

해맞이광장에있는 전국최대의가마솥 ,연오랑세오녀산상, 등대박물관,해맞이

광장 앞바다에 세워진 ‘상생의 손’등을 탐방후 35번해안 국도(호랑이꼬리) 를

따라  포항시내를지나 7번국도를따라  오늘도 즐거운 여행을 마무리지었다... 

한반도 동쪽땅끝마을           (여행일 : 2010.01.29잉금요일) 

석병1리  동쪽땅끝마을 표지석

표지석에새겨진글

한반도 동쪽 땅끝,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석병리,

위치 : 동경(경도) 129 35 10, 북위(위도) 36 2 51'

 

 

 

 

 

 새천년기념관

 새천년기념관4층(R층)전망대에서사진촬영한 호미곷 해맞이광장전경

 

 

 

 

 

 

 

 

 연오랑세오녀설화 (延烏郎細烏女說話)

  157년(신라 아달라왕 4) 동해 바닷가에서 해조(海藻)를 따던 연오랑은 어느날 바위에 실려 일본으로 가서 왕이 되었다.

남편을기다리던 세오녀도바위에 실려 일본에 닿아 남편과 해후하게 된다.

그후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빛을 잃으므로 점을쳐 본 결과 연오랑과 세오녀의 일에 원인이 있었음을 알게 되어,사자를 보내 귀국을 종용하였으나 연오랑은 이를 듣지 않고 세오녀가 짠 세초를 주어 사자를 돌려 보냈다.

《수이전(殊異傳)》에 전하는 설화. 《삼국유사(三國遺事)》과 《필원잡기(筆苑雜記)》에도 채록되었다.

 

 

 

전국최대의가마솥 

 

 

 

 

 상생의손

 

 

 

 

 

 

 

 

 상생의손

 

 

등대박물관 (燈臺博物館)

등대에 관한 유물과 자료를 전시한 박물관.

 등대에 관한 유물과 자료를 전시한 박물관. 항로표지 100년(1893년 6월 도입)을  기념하고 한국의 등대발전과정을 일반에 널리 알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위치는 포항항(浦項港) 입구 호미곶(장기곶)에 연면적 1500평, 건평 104평으로 1985년 2월 7일 개관하였다.   전국 각지의 등대에 관한 자료를 수집·보전·전시하여 해상에서의 등대 역할과 선박안전의 기여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93년 9월부터 2001년 8월까지 박물관 시설확충공사를 하여 2002년 확장 개관하였다.  총부지면적 20,697㎡에 제2전시관 1,666㎡, 관리관 254㎡의 규모이다. 2003년 현재 항로표지용품 및 해양관련 자료 320종, 3,000점(전시 500점)의  자료가 보관되어 있고, 제1전시관인 해양수산홍보관과 제2전시관인 등대관, 등대유물관 및 수상전시관과 야외전시장이 있다. 

소재지 : 경북 포항시 남구 대보면 대보리.

 

 

 

 

 

 

 

 

호미곶 등대(虎尾串 燈臺)

광무 5년 (1901)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대륙진출의 기반을 다질 즈음인 1901년 9월9일 일본수산실업전문대학 실습선이 대보 앞바다를 항해하다가 암초에 좌초되어 승선자 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등대시설 공사를 하게 됐으며 1908년12월 호미곶 등대가 건립되었다.이 등대가 8각 연와조로 철근없이벽돌로만 지어졌으며내부는 6층이며 등탑 높이는 26.4m이다.등탑 내 각층 천정에는 대한제국 황실 문양인 ‘오얏꽃’이 새겨져 있고 출입문과 창문은 고대 그리스 신전 건축의 박공양식으로 장식돼 있다.또 상부는 돔형 지붕 형태에 8각형 평면이 받치고 있으며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다.등대의 불빛은 35km까지 전달된다. 1982년 경상북도 지방기념물(제39호)로 지정되었다.

• 최초 점등일 : 1908.12.20

• 위 치 : 경북 포항시 남구 대보면 대보리 221

• 구 조 : 백색8각형 연와조(26.4m)

• 등 질 : 백섬광 12초 1섬광(FIW 12s)

• 특 징 : 호미곶 등대는 붉은 벽돌로만 건립되어 국내 유일의 건축양식을 자랑하는 경북지방문화재 제 3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영일만 주변을 운항하는 선박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포항제철(POSCO)포스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