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旅行)2010/덕 진 진 & 광 성 보

덕 진 진 & 광 성 보

녹수청산綠水靑山 2010. 11. 16. 15:41

덕진진 & 광 성 보

 

덕진진

종 목 사적 제226호

지 정 일 1971.12.28

소 재 지 인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46

시 대 조선시대

 

고려시대에 강화해협을 지키던 외성의 요충지이다. 병자호란 뒤 강화도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성·

외성·돈대·진보 등의 12진보를 만들었는데 그 중의 하나이다.

효종 7년(1666) 국방력 강화를 위해 해군주둔지(수영)에 속해 있던 덕진진을 덕포로 옮겼으며, 숙종 5년

(1679)에용두돈대와덕진돈대를 거느리고 덕진포대와남장포대를 관할함으로써강화해협에서가장강력한

포대로 알려져 있었고, 강화 12진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곳을 지키고 있었다.

1866년 병인양요 때는 양헌수의 군대가 덕진진을 거쳐 정족산성으로들어가 프랑스군대를격파하였으며,

1871년신미양요때는미국함대와가장치열한 포격전을 벌인 곳이다. 그러나 초지진에 상륙한 미국군대에

의하여 점령당하였다. 이 때 건물에 몸을 숨겨서 적과 싸울수 있도록쌓았던 낮은 담은 모두 파괴되었다.

1976년 성곽과 돈대를 고치고 남장포대도 고쳐 쌓았으며, 앞면 3칸·옆면 2칸의 문의 누각도 다시세웠고,

당시의 대포를 복원하여 설치하였다.

 

덕진진 공조루                                             (여행일: 2010.11.07일일요일나홀로)

 

 

 

 

 

 

 

 

 

 

 

 

 

 

 

 

 

 

 

 

경고비  :  해문 방수타국 선신물과 ( 海門  防守他國 船愼勿過)

어떻한외국선박도 이해협을지날수 없다는 뜻이다.....

 

 

 

광 성 보

 

종 목 사적 제227호  

지 정 일 1971.12.28

소 재 지 인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33

시 대 조선시대

 

광성보는 덕진진, 초지진, 용해진, 문수산성 등과 더불어 강화해협을 지키는 중요한 요새이다.

고려가 몽고침략에 대항하기위하여 강화로 도읍을옮기면서 1233년부터 1270년까지 강화외성을

쌓았는데, 이 성은 흙과 돌을 섞어서 쌓은 성으로 바다길을 따라 길게 만들어졌다.

광해군 때 다시 고쳐 쌓은 후 효종 9년(1658)에 광성보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숙종 때 일부를 돌로 고쳐서 쌓았으며,용두돈대,오두돈대,화도돈대, 광성돈대 등 소속 돈대가

만들어 졌다.

영조 21년(1745)에 성을고쳐 쌓으면서 성문을 만들었는데‘안해루"라 하였다.이곳은 1871년의

신미양요 때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무기로용감히 싸우다가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으며 문의 누각과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이 파괴되었다.

1976년다시복원하였으며, 광성보경내에는 신미양요때 순국한어재연장군의쌍충비와 신미순의총

및 전적지를 수리하고 세운 강화전적지, 수리한 것을 기록한 비석 등이 건립되었다

 

광성보 안해루

안해루뒷면

 

 

 

 

 

 

 

 

 

 

 

 

 

 

 

 

 

 

 

 

 

 

강화 전적지 정화 기념비 ( 江華 戰蹟地 淨化 記念碑 )

 

 

광성돈대